반응형
2023.11.17
불국사를 지나가야 하는 코스이지만 위에서부터 보고 내려올
계획으로 코스를 잡습니다.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에서 충분하게 감동을 받았지만
실제 직접 보는 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율이 타종을 해보라고 하는데 한 번에 천 원인데 저도 온 김에 힘껏 타종을 하니
반동으로 튀어 4번까지 울려
가족들이 웃습니다.
30분가량 올라가니 사진의 작음 암자가 석굴암 입구입니다..
카메라의 적외선으로 문화유산이 손상될까 하여
촬영 금지이고 지키시는 분이 2분이 계시는데
보는 순간 와하는 탄성이 나올 정도로 우선은 생각보다 크고 장엄한 분위기입니다.
이후 경주 박물관에서 만난 석굴암 보살의 그림은 감탄을 자아내는 수려한 아름다움이 그대로 타나나 있었습니다.
토함산 남동쪽 비탈에 있는 석굴암은 동해를 바라보며 자리 잡고 있다. 석굴암은 신라 경덕왕 10년인 751년에 당시 재상이었던 김대성이 짓기 시작해 혜공왕 10년인 774년에 완공됐다. 기록에 따르면 석굴암의 원래 이름은 석불사였다고 한다. 석굴암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졌고, 벽에는 39개의 불상들이 조각되어 있으며 한가운데에 본존불상이 놓여 있다.
석굴암은 전실(前室), 비도(扉道), 돔형 주실(主室)로 구성된다. 전실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양쪽 벽에는 팔부신장(八部神將)이 각각 네 사람씩 새겨져 있다. 비도는 전실에서 주실로 들어가는 부분인데, 비도의 입구 옆에는 두 사람의 금강역사상(金剛力士像)이 서 있다. 비도의 좁아지는 부분 양쪽으로는 사천왕상(四天王像)이 각각 한 쌍씩 조각되어 있다. 주실의 입구 양쪽에 팔각형 돌기둥 두 개가 각각 세워져 있고, 본존불상은 주실의 중앙에서 조금 벗어난 지점에 놓여 있다. 주실의 입구 양쪽 벽에는 범천(梵天)과 제석천(帝釋天), 두 보살, 십 나한이 새겨져 있다. 본존불상 뒤의 벽 한가운데에는 자비의 보살로 알려진 십일면관음보살상(十一面觀音菩薩像)이 새겨져 있다.
전실과 주실의 벽에 새겨진 불상들 아래 놓여 있는 돌에도 마찬가지로 부조가 새겨져 있다. 석굴암이 만들어진 당시에 십일면관음보살상 앞에 있었던 대리석 사리탑은 일제강점기 때 제거됐다. 본존불상 뒤의 벽에 새겨진 십일면관음보살상 위에는 거대한 원형 연판(蓮瓣)이 조각되어 있다. 이 원형 연판은 정면에서 보면 마치 본존불상의 후광인 듯한 인상을 준다. 이 연판 위쪽 벽에는 열 개의 감실들이 가로로 늘어서 있다. 감실 각각에는 보살이나 불자의 조각상이 놓여 있었으나, 현재 그중 두 개가 없어진 상태다. 돔형 천장을 구성하는 돌들은 주실 천장의 또 다른 연판을 향해 모아지는 모습을 하고 있다.
본존불상인 석가여래좌상은 3.45m 높이로 연화좌(蓮花座) 위에 앉아 있다. 불상의 머리카락은 달라붙은 곱슬머리이며, 정수리에는 궁극의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肉髻)가 돌기처럼 튀어나와 있다. 이마는 넓고, 초승달 같은 눈썹 아래로 반쯤 감은 눈은 동해를 응시하고 있다. 오른쪽 어깨에 걸쳐져 왼팔과 가슴을 덮은 모양의 법복은 섬세하고도 현실적이다. 불상은 부좌 상태에서 항마촉지인이라는 손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는 깨달음을 얻은 부처가 지신(地神)을 소환해 자신의 깨달음을 증명할 때 취했던 동작이다. 금강역사상, 팔부신장상, 천부상, 보살상, 십 나한상, 사천왕상 등의 다른 조각들도 모두 세부적인 자연스러움에 주의를 기울여 정교하게 조각되었다.
부처님의 시선이 바라보는 동해의 전경
돌하나 세워 같이 머물러 봅니다.
반응형
'- 행복한 이야기 - > -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문난 전주 시골밥상 (0) | 2023.11.26 |
---|---|
경주 불국사 (0) | 2023.11.26 |
경주 소노벨 식객 (0) | 2023.11.26 |
통영새나루터식당 (0) | 2020.11.30 |
오산리 선사유적박물관 (0) | 2019.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