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5.10 <작성 중>
아파트 오래된 도어록(사전은 도어록, 쿠팡등은 도어락입니다.)
을 교체하려다 보니
역시나 수많은 도어록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
웹서핑을 시작했고 이틀 이상 찾아보고 비로소
조금 지식을 갖게 되었습니다.
삼익 아파트 1층의 삼성 도어록이 첫눈에 봐도 멋져 보여
구입하려고 검색하니 직방(구 삼성이나 SDI)이 나옵니다.
번호가 높을수록 지문인식 기능등이 들어가 있고
안면 인식 기능과 방문자 촬영 기능, NFC기능으로 핸드폰이나
카드로 개폐하고. 손 닿은 부분의 유해물질이 없는 (중국산 가마솥 구이등은 고철을
녹여 만들어 납이 검출됩니다.) 고온 발생 시 경고와 해제기능,
타인이 쫓아 들어도지 못하게 빨리 닫히는 기능을 가진
도어록도 있어 선택이 힘들어지는데 하기에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TIP: 1. 구입시 상세 내역을 살펴야 오래된 기기를 구입하지 않습니다.
2. 2023년 직방에 매각했고 도어록의 A/S는 2년 이므로 별도 수리해야 합니다.
3. 이후 구입한 삼성이 찍힌 도어록은 2023년 3월부터 생산 중지 되어 직방으로
출고되므로 오래된 기기가 되고 구입처에서 A/S를 받아야 될 것 같습니다.
동일한 DP-951인데 282,470이고 다른하나는 360,500이어
자세히 제품 상세를 보니 케스팅으로된 부속이라면
지퍼 머리 (SLIDER 라고하며 다이케스팅 아연합금으로 오래되면 부식되는데
거의 모든 가방의 철 장식으로 사용되는 재질입니다. )처럼.
삭아 녹아내리고도 충분한 2019년 산 입니다.
삼성인데 왜 직방이지? 궁금했는데 나무위키에서 잘 설명이 되어 붙입니다.
한때 삼성에서 홈 네트워크 관련 사업을 총 4곳에서 했었는데 삼성전자(homevita), 삼성중공업(BaHa), 삼성물산 건설부문(CVnet) 그리고 삼성 SDS의 홈 IoT 사업부문(현 직방 스마트홈) 이렇게 있었다. 하지만 삼성전자의 homevita와 삼성중공업의 BaHa는 B2B 대상으로 하는 사업이었던지라 서로 사업이 겹치는 이유인지 비슷한 시기에 사업 철수를 했고 CVnet도 독자적으로 움직이고 있어 그룹 내 시너지가 크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2016년과 2017년에 끊임없이 매각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매각은 무산되었고 이후 IoT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였다. 결국 2021년 10월 들어서 다시 매각을 추진하고 있으며, 인수자로 직방이 선정되면서 2022년 삼성 SDS는 홈 IoT 사업부를 직방에 매각했다. 여기서 기업 상대로 서비스 중인 IoT는 삼성 SDS가 그대로 가지고 있다. 애초에 매각 대상이 그냥 단순한 도어록, 월패드 이런 사업부문만 직방에 매각한 것이기 때문.
직방에 매각되면서 2022년 7월부터 2023년 2월까지는 한시적으로 삼성 로고를 붙이고 제품을 제조했으나 2023년 3월 초부터 직방 로고로 찍혀 나오기 시작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점이 생기기 시작하는데 소비자는 같은 모델이라도 직방 로고보다 재고가 거의 없는 삼성 로고가 찍혀있는 상품을 찾기 시작했다. [8] 직방으로 넘어가면서 성능이나 가치가 떨어지지 않을까?라는 우려도 있지만 보통 직방 로고가 삼성 로고에 비해 너무 후져 보인다는 이유(...)가 가장 지배적이다. 하지만 성능 관련해서는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삼성 SDS 홈 IoT 사업부장 및 팀장과 핵심 연구진들 모두 직방으로 근무지를 옮겼고 삼성이 개발한 기술력까지 모두 직방으로 이관되었기에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9] 심지어 핵심 부품으로 여겨지는 보안칩의 경우 삼성 보안칩 그대로 삼성 SDS로부터 납품을 받아서 그대로 제품에 탑재된다. 그렇기에 직방 로고로 찍혀있는 제품들은 상표만 다를 뿐 속은 삼성 로고 제품과 1%도 다른 점이 없기에 안심해도 된다. [10] 다만 이와는 별개로 삼성과 직방의 브랜드 충성도, 가치 등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선호도 하락은 어쩔 수 없다. 이 때문에 직방 스마트홈 매출이 삼성 때에 비해 너무 적자라는 관측도 있다. 그래서인지 직방이 인수하고 2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도 마케팅을 할 때 이제는 전혀 무관한 삼성 SDS를 종종 언급하여 마케팅을 한다.
다만 Wi-Fi 지원 모델 한정으로 네트워크 이름은 'Samsung_DoorLock'에서 'Zigbang_DoorLock'으로 변경되었지만 직방으로 출시된 제품이더라도 Samsung 이름으로 내장된 경우도 몇몇 있다.
직방 DP951로 네이버에서 찿아 설치비 포함
38만 원에 설치하였는데
성심 성의껏 설치해주시고 설명하고 잘 안 닫치는 문까지
부드럽게 닫히게
수리해 주셔서 만족합니다.
지문 99개까지 기억하며 대자마자 열립니다.
리모델링하면서 인테리어 업자가 다해주기를 바랐지만
부분별 전문가가 필요한 법이고 거주자가 지식이
있어야 좋은 제품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도어록 하나 설치하면서 세상에 쉬운 일은
하나도 없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